애드센스 받아서 부수익을 얻어 보려고 1년 전에 블로그를 시작하여 블로그 경험을 쌓아 본 경험으로 애드센스 받는 방법을 저의 블로그에 공개하려 합니다. 애드센스 받으려 크몽이나 타 플랫폼에서 돈을 주고 애드센스 받는 분들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저는 pdf 책을 팔려고 하는 사람도 아니고 단순히 헛돈을 쓰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 이 포스팅을 작성합니다.
애드센스 승인 방법
애드센스 승인받는 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처음 승인을 받으실 때 1가지 주제로 쓰는데 이미지 크기는 500 이하
글의 제목이랑 부합하는 150자 이상의 서론 밑에 내려오는 소제목, 소제목에 맞는 내용 이런 내용들은 구글 SEO 적인
부과 적인 것들인데 단순히 제목, 서론, 소제목, 내용 형식으로 문단을 나눠서 작성하시고 티스토 기능 중 맞춤법 기능을 사용하셔서 띄어쓰기 철자 틀리지 않게 작성하신 내용의 글이 5개가 되었을대 구글 애드센스를 신청해 두시고
하루에 한개씩 포스팅을 구글 애드센스를 받기까지 2주까지 2분~3분도 안 되는 시간을 투자하시면 애드센스 승인이 날라 옵니다. 제가 같은 짓을 3번 해보았습니다 혹시나 티스토리만 이런 방법이 통할까 싶어서 구글 블로그 일명 블로그 스폿
이라는 새로운 플랫폼에 가서 실험해본 결과 똑같았습니다. 심지어 붙여 넣기, 해도 구글 애드센스 승인은 받을 수 있습니다. 틀린 말 같죠? 제가 여기서 무슨 이득을 본다고 거짓말하겠어요 그러니 밑져야 본전인데 한번 따라 해 보세요
크몽 타 플랫폼 대신맨
애드고시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왜 애드고시인 줄 모르겠습니다. 크몽에서 검색만 해봐도 말도 안 되는 전자책을 5만원 10만원에 판매 하면서 노하우라고 합니다. 이런 노하우는 조금만 시간 들이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것들이라 생각합니다.
제발 말도 안돼는 애드센스 고시 대신 애드센스 받아 드립니다. 애드센스 하면 누구나 100만 원 한 달에 부수익으로 가져가세요 같은 키워드에 현옥 되지 마세요 여러분의 5만 원 10만 원은 정말 조금의 노력으로 지킬 수 있고 이런 고물가 시대에
배달로 자신의 배를 불릴 수 있고 부모님에게 작은 선물도 할 수 있는 금액입니다.
무엇이 오른 지 무엇이 틀린 지를 알아보기 위해 같은 주제로 여러 명의 이야기를 듣고 그 여러 명이 같은 소리 같은 말을 하는 것을 믿으시면 적어도 결제할 일은 없어질 겁니다.
구글 SEO 간단 요약
저는 구글 SEO 를 모두 아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구글 애드센스 받을 정도는 알고 있습니다. 그것을 몇가지 키워드로 알려드리겠습니다.
- 빠른 속도의 웹페이지
- 퀄리티 좋고 용량이 작은 이미지
- 제목,서론,소제목이 일치하는 내용
- 나무위키 같은 사이트
- 부가 설명이 잘 되어 있는 링크
- 애드센스 승인후 도메인을 사용하여 많은 광고 노출
이런 부분들이 제가 지난 1년동안 블로그를 하면서 구글이 좋아하는 요소들 이었습니다.
마무리
긴내용을 작성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구글 애드센스 받는것은 정말 쉬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2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기도 하고 이것을 힘들어 하는 사람도 있을겁니다. 하지만 우리가 회사에 취직을 해서 시간을 지키고 많은 일들을 하는것에 비하면 정말 미비 할정도로 힘든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집중을 한다면 누구나 다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애드센스 받는 별거 없는 포스팅 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에는 블로그를 하면서 느꼈던 점 중에서
글을 아무리 많이 써도 0.01 달러 이던 수익이 하루에 못해도 3달러 4달러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스포를 조금 하자면 세상에는 공짜는 없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가 블로그 1년 정도 했는데 저도 몰랐습니다? (27) | 2024.05.29 |
---|---|
결과만 따지면 이슈 블로그가 답 인듯합니다. (1) | 2024.05.24 |
수개월 동안 하지 않던 블로그 이제 다시 시작합니다. (4) | 2023.09.30 |
하루에 1000원도 못 버는 블로그 계속할 수 있는 이유 (24) | 2023.06.26 |
티스토리 블로그 팁 수동 광고를 자동 광고처럼 서식 관리 활용하기 (21) | 2023.06.22 |
댓글